망간의 효능, 결핍 증상, 섭취 기준량, 함유 음식은?
CONTENTS
· 망간(Manganes)이란?
· 망간의 효능
· 망간의 결핍 증상
· 망간의 과잉 증상
· 망간의 섭취기준량
· 망간이 함유된 음식
망간(Manganes)이란?
망간은 성인의 체내에 약 10~20mg 정도 존재하는 필수 미네랄입니다. 그중 25~40%는 뼈에 있으며 간, 췌장, 신장, 모발, 혈액에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흡수된 망간의 90% 이상은 담즙을 통해 대변으로 배설되고 소량은 재흡수됩니다. 망간은 다양한 효소의 구성 성분이 되거나 효소를 활성화시키는 보조인자로써 뼈의 발육, 당지질 대사, 운동 기능, 피부 대사 등 많은 효소 반응에 관여하고 있습니다.
망간의 효능
효소활성화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을 소화 흡수하는 효소를 활성화합니다
항산화 작용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망간은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OD)라는 항산화 효소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습니다. 항산화제는 우리 몸의 세포를 파괴하거나 손상시키는 자유 라디칼(free radicals)로부터 신체를 보호합니다.
뼈 형성
망간은 뼈의 형성에 관여하는 여러 효소의 보조인자입니다. 뼈의 석회화를 도우면서 뼈, 인대, 신경을 강화하기 때문에 망간의 섭취는 골밀도의 증가에도 기여합니다. 망간의 결핍은 골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단, 망간 보충제가 사람의 뼈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혈액 생성 및 응고 (지혈)
망간은 혈액이나 비타민 E 복합체의 일종을 체내에서 생성할 때 관여합니다. 또한 비타민K와 함께 혈전의 형성을 도와 상처의 출혈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망간의 결핍 증상
망간의 필요량은 미량이고 통상적인 식생활에서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부족이나 결핍은 매우 드뭅니다. 드물지만 결핍이 발생하는 경우, 제한된 증거에 따르면 뼈 등의 발육 부전, 느린 상처 치유, 혈당치 증가, 성 기능의 저하, 난청, 운동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망간의 과잉 증상
과잉증은 통상적인 식사로는 발생하는 경우가 드뭅니다. 다만, 망간 먼지를 만성적으로 흡입하여 다량의 망간에 노출된 용접 및 광업과 관련된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서 망간 독성이 발생한 조사가 있습니다. 망간 독성은 주로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며 떨림, 근육 경련, 이명, 청력 상실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추가 증상으로는 조증, 불면증, 우울증, 망상, 거식증, 두통, 기분 및 단기 기억의 변화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징후와 증상은 보행 및 균형의 변화를 포함하여 파킨슨병과 유사한 신경운동 장애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철의 결핍은 망간 흡수를 증가시켜 망간 독성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만성 간 질환이 있는 사람은 과도한 망간 섭취로 인한 기타 부작용에 더 취약합니다.
망간의 섭취기준량
망간은 일일 권장섭취량은 없지만 적정 섭취량(AI, Adequate Intake)은 18세 이상의 남성은 경우 4.0mg, 여성은 3.5mg이며 상한 섭취량은 18세 이상 남녀 모두 11mg입니다 (출처: 한국 영양학회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
망간이 함유된 음식
망간은 파인애플, 통곡류, 조개류, 견과류, 녹차, 홍차, 콩류, 씨앗류, 향신료에 많이 포함됩니다. 모유에도 1리터당 3~10mg이 포함되어 있어 유아는 모유를 통해 망간을 섭취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아래 표는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에서 발표한 망간의 함량이 높은 식품입니다.
망간 고함량 식품(100g당 함량)
식품 | 함량(mg/100g) | 식품 | 함량(mg/100g) |
정향, 가루 | 93.00 | 들깨, 볶은 것 | 4.61 |
녹차 잎, 말린 것 | 57.94 | 밤, 생것 | 4.45 |
계피, 가루 | 29.96 | 후추, 가루 | 4.45 |
사프란 | 28.41 | 고춧잎, 생것 | 4.40 |
보리, 미숫가루 | 17.98 | 피칸, 볶은 것 | 3.93 |
구기자 잎, 생것 | 16.74 | 호박씨, 말린 것 | 3.78 |
잣, 생것 | 14.21 | 파인애플, 생것 | 3.63 |
월계수 잎, 말린것 | 8.17 | 멸치, 삶아서 말린 것 | 3.04 |
오레가노, 말린 것 | 4.99 | 석이 버섯, 말린 것 | 2.93 |
감사합니다!
건강한 습관, 행복한 삶
∽ 파워해빗 ∽
본 콘텐츠에 포함된 정보는 교육 및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 쓰였으며 의학적 조언이 아니므로 참조용으로 사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의학적 상태나 건강에 관한 전문적 조언이 필요하신 경우 항상 의사나 기타 자격을 갖춘 의료 제공자와 상담 바랍니다.
출처 및 참고자료
・ 미 국립보건원: Maganese Factsheets
・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보건복지부/한국 영양학회)
'건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 독소 렉틴 제거하는 방법 5가지 (1) | 2022.02.15 |
---|---|
프탈레이트란? 위험성, 종류, 함유제품, 노출 줄이는 법 (1) | 2022.02.13 |
사이토카인(cytokine)의 역할과 종류, 사이토카인 폭풍이란? (1) | 2022.02.09 |
불소(fluoride)란? 용도, 효능, 위험성 (0) | 2022.02.07 |
산화된 기름의 위험성과 산패 확인 및 방지법 (0) | 2022.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