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알레르기의 증상과 원인, 진단 방법은?
음식 알레르기는 특정 음식을 먹으면 일어나는 면역체계 반응입니다.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음식은 개인마다 다르지만 극소량이라도 복통이나 설사, 두드러기, 기도가 붓는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일부 사람들에게는 아나필락시스라고 하는 생명을 위협하는 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음식 알레르기란 무엇이고, 그 원인과 증상, 진단 방법, 그리고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 음식 알레르기란?
・ 음식 알레르기의 증상
・ 음식 알레르기의 원인
・ 음식 알레르기의 진단 및 검사, 치료방법
음식(식품) 알레르기란?
우리 몸에는 유해한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와 같은 해를 끼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면역기능이 있습니다. 보통 몸의 영양분이 되는 음식은 소화되어 흡수되는 게 정상이지만 면역기능 또는 소화 및 흡수 기능에 문제가 있으면 흡수된 음식을 몸에 해가 되는 물질로 인식하여 제거하려고 합니다. 이때 면역기능이 과도하게 반응하고 몸에 다양한 알레르기 증상을 나타나는 상태를 식품 알레르기라고 합니다.
음식을 먹으면 장에서 흡수된 알레르겐이 혈액을 통해 전신으로 옮겨지기 때문에 눈, 코, 목, 폐, 피부, 장 등 다양한 부위에서 증상이 나타납니다. 유아기에는 밀, 대두, 닭, 계란, 우유 등이 주원인이며 학령기 이후에는 갑각류, 과일, 밀, 어류, 땅콩 등으로 노화에 따라 알레르겐이 달라지는 특징을 띱니다. 다만, 어린 시절의 음식 알레르기는 대부분 성장함에 따라 점차 나아지기도 합니다.
음식 알레르기의 증상
음식 알레르기 증상은 일반적으로 문제가 되는 음식을 먹은 후 몇 분에서 2시간 이내에 나타납니다. 가장 흔한 징후와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입 안에 따끔거리거나 가려움
- 두드러기, 가려움증, 습진
- 입술, 얼굴, 혀, 목구멍 또는 기타 신체 부위가 부어오름
- 코막힘 또는 호흡곤란
- 복통, 설사, 메스꺼움, 구토
- 어지러움, 현기증, 실신
이보다 더 심각한 증상으로는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라는 급성 알레르기 반응이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아나필락시스 증상은 생명을 위태롭게 할 수도 있습니다.
- 기도의 수축 및 조임
- 목이 부어오르거나 목에 덩어리가 있는 듯이 느껴지며 숨쉬기가 어려움
- 심한 혈압 강하를 동반한 쇼크
- 빠른 맥박
- 현기증, 어지러움, 또는 의식상실
✔︎ 음식 과민증(불내증)과의 차이?
식품 알레르기는 음식 과민증 또는 불내증(food intolerance)과 혼동되기 쉽습니다. 음식 과민증도 알레르기와 같이 메스꺼움, 구토, 경련, 설사와 같은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차이점은 알레르기와는 달리 면역 체계와는 관련이 없어 증상이 덜 심각하며 소량의 경우라면 반응이 없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음식 알레르기의 경우는 소량이라도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그밖에 음식 알레르기로 오인되는 경우
- 음식을 완전히 소화하는데 필요한 일부 효소의 부족: 예를 들면 유당 불내증의 경우, 락타아제의 양이 충분하지 않으면 유제품의 유당을 소화하는 능력이 감소하여 복부 팽만감, 경련, 설사, 가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식중독: 식중독 증상은 알레르기 증상과 유사할 수 있습니다. 상한 생선의 박테리아는 유해한 반응을 유발하는 독소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식품첨가물: 일부 사람들은 특정 식품 첨가물에 과민하여 소화 관련 증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히스타민 독성: 적절히 냉장보관되지 않은 참치, 고등어 등의 특정 생선에는 많은 양의 박테리아가 들어있어 음식 알레르기와 유사한 증상을 유발하는 높은 수준의 히스타민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셀리악병: 셀리악병은 음식 알레르기와 마찬가지로 면역체계와 관련이 있고 아나필락시스를 일으키지는 않습니다. 셀리악병은 글루텐 알레르기로 빵, 파스타, 쿠키 등 밀이나 보리로 만든 식품을 섭취하면 소장 표면을 손상시키는 면역반응이 일어나 관련 증상이 유발됩니다.
셀리악병 더 알아보기
셀리악병이란? 원인과 증상, 진단과 치료법
셀리악병이란? 원인과 증상, 진단과 치료법 안녕하세요 ∽파워해빗∽ 입니다! 빵이나 면과 같이 밀가루(글루텐)가 포함된 음식을 먹으면 몸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바로
healthhabit.tistory.com
음식 알레르기의 원인
몸속에 음식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는 물질인 '알레르겐'이 들러가면 이것을 제거하려고 면역세포의 지령에 의해 우리 몸은 'IgE항체' 또는 면역글로불린(단백질의 일종)을 혈액 중에 만들어 냅니다. IgE항체는 피부와 눈, 코, 장, 기관지 등의 점막에 존재하는 세포와 붙어서 IgE항체가 침입하면 세포로부터 히스타민 등의 화학물질을 방출하여 공격합니다. 이러한 화학 물질들이 가려움 증, 호흡곤란, 염증 등 다양한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킵니다. 단, IgE항체가 원인이 아닌 알레르기도 있습니다.
또한 특정 음식에 알레르기가 있으면 다른 음식에서 발견되는 유사한 단백질에도 알레르기 반응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를 교차 반응성이라고 합니다.
성인의 경우 대부분의 음식 알레르기는 다음의 8가지 식품에 포함된 특정 단백질에 의해 유발됩니다.
- 갑각류 및 조개류 (새우, 랍스터, 게, 조개 등)
- 땅콩
- 견과류(호두, 아몬드, 피칸 등)
- 생선
- 우유
- 계란
- 콩
- 밀
어린이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땅콩, 견과류, 달걀, 우유, 밀, 콩에 함유된 단백질에 의해 알레르기가 유발됩니다.
음식 알레르기의 진단 및 검사, 치료법
현재 음식 알레르기를 정확히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완벽한 검사는 없다고 합니다. 다만 의사가 진단을 내릴 때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고려합니다.
- 증상 및 병력: 어떤 음식이 증상을 일으키는지에 대한 내용 및 병력
- 가족력: 알레르기가 있는 가족 구성원에 대한 정보
- 신체검사: 종종 다른 의학적 문제를 발견하거나 알레르기를 판별할 때 배제 가능
- 피부테스트(Skin Prick Test): 소량의 음식을 팔뚝이나 피부 등에 얹고 의료 전문가가 바늘로 피부를 찔러 피부 표면 아래에 물질이 닿도록 하여 반응을 봅니다. 다만 이 테스트만으로는 식품 알레르기를 확인하기 충분하지 않습니다.
- 혈액검사: 면역 글로불린(IgE) 항체를 측정하여 특정 음식에 대한 면역 체계 반응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 제거 다이어트(Elimination Diet): 1~2주간 의심이 되는 음식을 식단에서 제거한 다음 한 번에 하나씩 추가하여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는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음식 과민증과 분별하기 어려우며, 심한 알레르기 증상이 있는 경우는 위험합니다.
음식 알레르기에 대한 치료법이나 예방법은 없습니다. 가장 최선의 조치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음식을 먹지 않는 것입니다. 특정 성분이나 재료가 포함된 식품을 먹지 않도록 원재료명(식품 라벨)을 반드시 확인하고 외식을 할 경우에는 번거롭더라도 식당 측에 재료에 대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미한 알레르기 반응의 경우는 의사로부터 처방된 항히스타민제가 증상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항히스타민제는 가려움이나 두드러기를 완화할 때 복용할 수 있지만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은 치료할 수 없습니다. 심한 알레르기의 경우는 특히나 관련 전문의나 면역학자가 진단하여 처방을 받아 증상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건강한 습관, 행복한 삶
∽ 파워해빗 ∽
본 콘텐츠에 포함된 정보는 교육 및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 쓰였으며 의학적 조언이 아니므로 참조용으로 사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의학적 상태나 건강에 관한 전문적 조언이 필요하신 경우 항상 의사나 기타 자격을 갖춘 의료 제공자와 상담 바랍니다.
출처 및 참고자료
・ Food Allergy Research & Education
・ American Academy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
・ Mayo Clinic - Food Allergy
'건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리신(Glycine)이란? 효능과 부작용, 결핍 증상, 음식 (0) | 2021.12.02 |
---|---|
프로틴 파우더(단백질 보충제)의 종류와 장단점, 고르는 기준 (0) | 2021.11.30 |
노화 늦추는 '카르노신'의 효능, 섭취량, 풍부한 음식은? (0) | 2021.11.27 |
알츠하이머형 치매란? 원인, 초기~후기 증상, 치료와 대응법 (0) | 2021.11.25 |
전자렌지가 안좋은 이유? 전자파의 위험성 논란 (0) | 2021.11.23 |